영화 '밀양'은 한국을 대표하는 거장 이창동 감독의 작품으로, 2007년 개봉 이후 전 세계적인 극찬을 받으며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전도연)을 수상한 기념비적인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사랑하는 남편을 잃은 신애(전도연 분)가 아들과 함께 남편의 고향인 밀양으로 내려와 새로운 삶을 시작하려 하지만, 또 다른 비극적인 사건을 겪으며 절망에 빠지는 이야기를 그립니다. 이 영화는 인간의 가장 깊은 고통인 '상실'과 '구원', 그리고 '용서'라는 종교적 믿음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집니다. 이창동 감독 특유의 사실적이고 섬세한 연출은 주인공 신애의 내면적인 고통을 관객들에게 고스란히 전달하며, 한시도 눈을 뗄 수 없는 압도적인 몰입감을 선사합니다. 밀양이라는 작은 도시의 평범한 풍경 속에서 펼쳐지는 비극적인 서사는, 인간의 삶과 운명에 대한 깊은 성찰을 하게 만듭니다. '밀양'은 단순한 영화를 넘어선, 우리 모두가 한 번쯤은 겪게 될 고통과 상실에 대한 깊은 위로와 공감을 전하는 명작입니다.
줄거리 요약
서울에서 남편을 잃은 신애는 남편의 고향인 밀양으로 내려와 작은 피아노 학원을 차리고, 아들 준과 함께 새로운 삶을 시작합니다. 그녀는 낯선 도시에서 적응하기 위해 노력하고, 그녀를 짝사랑하는 정비소 사장 종찬(송강호 분)의 도움을 받으며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는 듯 보입니다. 그러나 그녀의 삶은 또 다른 비극적인 사건으로 인해 완전히 무너집니다. 아들 준이 유괴되어 살해당한 것입니다. 신애는 아들의 죽음 앞에서 모든 것을 잃고 절망에 빠집니다. 그녀는 종교에 의지하며 자신의 고통을 극복하려 하고, 신앙생활을 통해 마음의 평화를 얻습니다. 신애는 아들을 죽인 범인이 감옥에 있다는 것을 알고, 그를 찾아가 용서해 주기로 결심합니다. 그녀는 자신의 용서가 범인의 죄책감을 덜어주고, 자신 또한 마음의 평화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믿었습니다. 그러나 감옥에서 만난 범인은 이미 신앙을 통해 죄를 뉘우치고 평화를 얻은 상태였습니다. 신애는 자신의 용서가 아무런 의미도 없다는 것에 분노하고, '신'이라는 존재에 대한 깊은 의심과 증오에 빠집니다. 그녀는 교회에 찾아가 찬송가를 부르는 사람들에게 소리를 지르고, 종찬의 도움도 거부한 채 스스로를 파괴해 나갑니다. 이 영화는 한 인간의 극한적인 고통과, 그 고통을 극복하려는 처절한 몸부림을 통해 '종교'와 '구원'의 본질에 대해 깊이 있는 질문을 던집니다.
명장면
'밀양'의 가장 충격적이고 잊을 수 없는 명장면은 단연코 '신애가 교도소에서 아들을 살해한 범인을 찾아가 용서를 말하는 장면'입니다. 신애는 자신의 고통을 극복하기 위해, 범인을 용서해 주기로 결심하고 교도소로 향합니다. 그녀는 범인에게 "나는 당신을 용서했습니다"라고 말하며, 자신의 용서가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는지를 설명합니다. 그러나 범인은 그녀의 말을 듣고, "이미 나는 하느님에게 용서를 받았다"고 말하며 평온한 표정을 짓습니다. 이 순간, 신애의 세계는 완전히 무너집니다. 그녀는 자신이 힘들게 얻어낸 용서가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에 분노하고, 자신의 믿음이 산산조각 나는 것을 느낍니다. 이 장면은 대사 없이 배우 전도연의 표정 연기만으로 모든 것을 전달합니다. 그녀의 눈빛은 순식간에 평화에서 절망과 분노로 변하고, 그녀는 울부짖으며 교도소를 뛰쳐나갑니다. 이 장면은 인간의 용서가 과연 신의 용서보다 가치가 없는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며, 관객들에게 깊은 충격과 함께 먹먹한 감동을 안겨줍니다.
리뷰
개인적으로 '밀양'은 이창동 감독의 필모그래피 중 가장 깊고, 동시에 가장 고통스러운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이 영화는 한 인간이 겪을 수 있는 가장 큰 비극을 다루면서도, 그 비극을 신파로 소비하지 않고, 인간의 내면을 깊이 있게 파고들어 성찰하게 만듭니다. 배우 전도연의 연기는 그야말로 압도적이었습니다. 그녀는 신애의 절망과 분노, 그리고 광기까지 완벽하게 소화해내며 '전도연이 곧 신애'라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송강호 배우의 연기 또한 훌륭했습니다. 그는 순수한 마음으로 신애를 짝사랑하는 종찬의 모습을 섬세하게 표현해내며, 영화의 어두운 분위기 속에서 유일한 희망의 빛을 비춥니다. '밀양'은 종교가 가진 모순과 인간의 나약함을 비판하면서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삶은 계속되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합니다. 이 영화는 우리에게 '고통'과 '상실'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지에 대한 정답을 주지 않습니다. 그저, 그 고통을 겪고 있는 한 사람의 처절한 몸부림을 담담하게 보여줄 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