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킹덤'은 넷플릭스가 한국 콘텐츠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선보인, 전 세계적인 신드롬을 일으킨 오리지널 시리즈입니다. '터널', '시그널' 등으로 탁월한 스토리텔링 능력을 인정받은 김은희 작가와, 영화 '터널'의 김성훈 감독이 의기투합하여 탄생시킨 이 작품은, 조선 시대의 궁중 암투와 서양의 좀비라는 파격적인 소재를 결합해 독창적인 장르를 개척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왕이 의문의 병에 걸린 후, 역병의 근원을 찾기 위해 나선 왕세자 이창의 처절한 사투를 그립니다. '킹덤'은 좀비라는 공포스러운 존재를 단순한 볼거리로만 활용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들을 조선 시대의 신분제와 권력 다툼이라는 사회적 문제에 대한 메타포로 사용하며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궁궐의 탐욕스러운 권력자들과 역병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모습은, 혼돈의 시대 속에서 인간이 어떻게 변질되고, 진정한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냉철하게 성찰하게 합니다. 드라마의 모든 장면은 마치 한 편의 영화처럼 압도적인 스케일과 아름다운 미장센을 자랑하며, 배우들의 뛰어난 연기와 긴박감 넘치는 서사가 완벽하게 조화를 이룹니다. '킹덤'은 K-좀비라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키며,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전 세계에 알린 기념비적인 작품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 시리즈는 단순한 좀비물 이상의 깊은 울림과 재미를 선사하며, 보는 이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안겨줍니다.
줄거리 요약
조선 시대, 왕이 의문의 병에 걸려 사경을 헤매는 가운데, 왕의 측근인 조학주(류승룡 분)와 그의 딸인 계비 조씨(김혜준 분)는 왕의 병을 숨긴 채 자신들의 세력을 키우고 있었습니다. 왕세자 이창(주지훈 분)은 왕의 병을 확인하기 위해 궁궐에 들어서려 하지만, 계비 조씨의 방해로 번번이 실패합니다. 이창은 왕이 있는 곳에 숨겨진 비밀을 알아내기 위해 몰래 궁을 빠져나와, 왕을 치료했던 의원을 찾아갑니다. 그러나 그가 도착한 곳에는 이미 역병이 창궐해 있었고, 사람의 고기를 탐하는 기이한 괴물들이 도시를 휩쓸고 있었습니다. 이 괴물들은 왕의 병과 관련이 있었고, 왕을 살려내기 위해 사용되었던 '생사초'라는 약초가 역병의 근원이었습니다. 이창은 이 모든 것이 조학주의 야심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직감하고, 역병의 근원을 찾아내고 동시에 백성을 구하기 위한 처절한 여정을 시작합니다. 이 과정에서 이창은 역병의 진실을 알고 있는 의녀 서비(배두나 분)와 만나게 되고, 그들은 함께 역병에 맞서 싸웁니다. 이들은 역병이 단순히 사람들을 좀비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배고픔'이라는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욕구를 증폭시켜 사람들을 미치게 만드는 것임을 깨닫습니다. 서비는 역병의 비밀을 밝혀내기 위해 생사초를 연구하고, 이창은 백성을 지키기 위해 군사를 모으려 합니다. 그러나 조학주는 이창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그를 역모죄로 몰아세웁니다. 이창은 왕좌를 빼앗기고 역적으로 몰리지만, 그는 자신의 안위보다는 백성의 생존을 우선시하며 역병과의 싸움을 계속합니다. 이 시리즈는 좀비라는 공포스러운 존재뿐만 아니라, 탐욕과 권력욕에 눈먼 인간들의 잔혹함을 동시에 보여주며 관객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깁니다.
명장면
'킹덤'에서 가장 충격적이고 독창적인 명장면은 단연코 '낮과 밤이 뒤바뀐 좀비들의 습격'입니다. 시리즈 1부에서 좀비들은 오직 밤에만 활동하고, 태양이 뜨면 활동을 멈추는 것으로 알려져 있었습니다. 이창과 백성들은 밤에는 성벽 안으로 숨어들고, 낮에는 좀비들을 피해 평화로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그러나 2부에서 이창과 백성들은 충격적인 진실을 마주합니다. 좀비들이 밤뿐만 아니라 낮에도 활동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들은 해가 뜨자마자 성벽을 부수고 도시로 쏟아져 들어오고, 사람들은 공포에 질려 도망칩니다. 이 장면은 관객들이 예상했던 모든 규칙을 깨고, '킹덤'의 좀비가 얼마나 진화하고 무서운 존재인지를 보여주는 하이라이트입니다. 감독은 이 장면에서 쨍한 햇살 아래에서 좀비들이 사람들을 쫓는 모습을 통해, 낮이라는 평화로운 시간이 공포의 시간으로 바뀌는 아이러니를 극적으로 연출합니다. 이창은 성벽 위에서 백성들이 무참히 희생되는 모습을 보며 절망에 빠지고, 그의 눈빛은 분노와 슬픔으로 가득 찹니다. 이 명장면은 '킹덤'이 단순한 좀비물이 아니라, 시대의 변화와 예상치 못한 위기에 대처하는 인간의 모습을 깊이 있게 다루는 작품임을 증명합니다.
리뷰
개인적으로 '킹덤'은 한국 콘텐츠의 위상을 한 단계 끌어올린 기념비적인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김은희 작가의 치밀한 스토리는 좀비라는 흥미로운 소재에 조선 시대의 정치적 암투라는 깊이를 더했고, 김성훈 감독의 영화 같은 연출은 모든 장면을 압도적인 스케일과 긴장감으로 채웠습니다. 이 시리즈의 가장 큰 매력은 '좀비'가 단순한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권력'과 '계급'에 대한 메타포로 활용된다는 점입니다. 좀비들이 신분고하를 막론하고 사람들을 공격하는 모습은, 권력자들이 쌓아 올린 견고한 신분제가 무너지는 것을 보여주며 통쾌함을 선사합니다. 주지훈과 배두나를 비롯한 배우들의 연기 또한 압도적이었습니다. 주지훈은 백성을 지키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이창의 고독한 리더십을, 배두나는 역병의 비밀을 파헤치는 서비의 강인함과 지혜를 완벽하게 표현해냈습니다. '킹덤'은 단순히 좀비와 싸우는 이야기가 아니라, 권력의 본질과 인간의 욕망에 대해 생각하게 만드는 깊이 있는 작품입니다. 이 시리즈는 한국 콘텐츠가 전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고, 앞으로 나올 시리즈에 대한 기대감을 최고조로 끌어올립니다.